북한 무인기 무려 3시간 동안 대한민국 영공 비행, 용산 대통령실까지 촬영당했나?

by 이원우기자 posted Dec 27, 20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스피라TV]

 

 

북한 무인기 침공 당시 상황.jpg

<북한 무인기 침공 당시 상황 출처:문화일보>

 

 

26일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가 용산 대통령실 일대까지 촬영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러졌다.

 

군 당국에 따르면 26일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 무인기 5대 중 1대는 곧장 서울로 진입한 뒤 북으로 돌아가기까지 약 3시간 가량 남한 영공에서 비행했다.

 

군은 이 무인기가 김포와 파주 사이 한강 중립수역으로 진입한 뒤 남동쪽으로 직행, 서울로 진입해 서울 북부를 거쳐 빠져나갔다고 밝혔다. 군에서 언급한 북부의 정확한 범위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는 레이더상 무인기의 탐지와 소실이 반복됐고, 동선이 점으로 표현된 만큼 소실 구간에서 어떻게 이동했는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로 진입한 기체가 서울시 은평구 방향으로 진입한 것은 물론, 서울 한강 이북에 해당하는 용산 근처를 비행하면서 대통령실 일대까지 촬영하고 돌아갔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나머지 4대는 인천 강화도, 파주, 김포 일대를 오후 330분까지 비행한 뒤 강화도 일대에서 사라졌다. 육군 수도방위사령부가 2019년 도입한 드론 테러 방어용 레이더 ‘SSR’이 수도권 핵심 시설에 배치됐으나, 처음 맞은 이번 실전에서 재성능을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군은 북한 무인기 침범에 공중 전력을 투입하고 경계태세를 2급으로 격상해 대응했다. F-15KKF-16 등 전투기는 물론 KA-1 경공격기, 아파치, 코프라 등 공격헬기까지 군용기 총 20대가 동원됐다.

 

이에 군은 군사분계선(MDL) 근접 지역과 이북 지역으로 유, 무인 정찰기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조치를 취했다. 군단급 무인 정찰기 송골매’ 2대가 MDL을 넘어갔고, 유인정찰기 백두금강9.19 군사합의상 비행금지구역을 넘어 MDL 근처까지 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군 정찰기가 MDL을 넘어 북한으로 진입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군의 한 관계자는 전시였더라면 지상 대공포가 즉시 가동됐을 수 있는데 민간 피해를 고려하면 쓸 수 있는 상황이 많지 않았을 수 있다북한 무인기가 오래 머물렀던 만큼 어떤 기회를 잡아야 할지 고민이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이날 현장 부대들에 합참 전비태세검열실 인원을 파견해 작전 전반에 대한 조치 경과를 확인하면서 지상 대공포 운용 관련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방침이다.

 

 

 

스피라TV 이원우 기자 spirra2w@naver.com

 

<저작권자  스피라티비 뉴스무단전재 재배포 금지>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1. 경조사비 챙기는 시장과 군수, 태백시장과 장흥 군수 개인 경조사 알리며 시민에 계좌번호 보내 논란

    Date2023.04.20 By이원우기자 Views16159 file
    Read More
  2. 3연속 막말 논란 태영호 최고위원 막말 동지 김재원과 함께 국힘 최고위원회의 불참, 사퇴설 솔솔

    Date2023.04.20 By이원우기자 Views4922 file
    Read More
  3. 대법원 "성희롱, 2차 가해 교직원 파면 정당"

    Date2023.04.19 By이원우기자 Views4721 file
    Read More
  4. 윤 대통령 "러시아 우크라이나 민간인 계속 공격하면 군사 지원 고려할 것"

    Date2023.04.19 By이원우기자 Views1276 file
    Read More
  5. "300만원은 실무자 한끼 식대 수준" 막말 정성호 의원, 논란 일자 사과

    Date2023.04.19 By이원우기자 Views11587 file
    Read More
  6. '소신' 금태섭 전 의원 제3지대 신당 창단 공식화,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나도 돕겠다"

    Date2023.04.19 By이원우기자 Views6450 file
    Read More
  7. 박영수 전 특검 "특검은 청탁금지법상 공직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런 뻔뻔함이?

    Date2023.04.18 By이원우기자 Views8576 file
    Read More
  8. 정명석 범죄 도운 JMS 2인자 정조은 등 2명 전격 구속

    Date2023.04.18 By이원우기자 Views13153 file
    Read More
  9. 돈 봉투 몰랐다던 송영길 전 대표, 돈 봉투 인지하고 있었던 녹취록 등장

    Date2023.04.18 By이원우기자 Views19374 file
    Read More
  10. 사과하던 'JMS' 태영호, 민주당 비난에 발끈

    Date2023.04.18 By이원우기자 Views15012 file
    Read More
  11. 원희룡 장관 '지옥라인'에 버스전용차로 확보로 긴급 대책 마련

    Date2023.04.17 By이원우기자 Views11336 file
    Read More
  12. '스쿨존 참변' 음주운전자 신상 정보 공개 개정안 발의

    Date2023.04.17 By이원우기자 Views9643 file
    Read More
  13. 법원 "개인 사유지라도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하는 도로는 과세대상 아니야"

    Date2023.04.17 By이원우기자 Views7733 file
    Read More
  14. '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살포' 의혹에 머리 숙여 사과한 이재명 대표

    Date2023.04.17 By이원우기자 Views9566 file
    Read More
  15. '성추행 의혹' 휩싸인 정철승 박원순 전 서울시장 변호인 "가짜 미투" 혐의 부인

    Date2023.04.14 By이원우기자 Views29656 file
    Read More
  16. 백현동 개발 특혜 의혹 핵심인물 김인섭 전 대표 구속 영장 기각

    Date2023.04.14 By이원우기자 Views23248 file
    Read More
  17.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테라 루나 사태 전 100억원 가량 김앤장에 송금

    Date2023.04.14 By이원우기자 Views22205 file
    Read More
  18. 김진표 국회의장 "선거제 개편 이르면 5월 마무리, 위성정당은 없어질 것"

    Date2023.04.14 By이원우기자 Views14141 file
    Read More
  19. 여-야, 의사-간호사 극한 갈등의 원인 '간호법' 너는 무엇이냐?

    Date2023.04.14 By이원우기자 Views14646 file
    Read More
  20. 대법원 "구글, 미국 정보기관에 제공한 국내 이용자 내역 공개하라"

    Date2023.04.13 By이원우기자 Views20916 file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0 Next
/ 100

사용자 로그인